본문 바로가기

돈되는 깨알꿀팁

[돈공부]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첫걸음 (1)

 

 

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첫걸음

💰 사회초년생을 위한
재테크 첫걸음

재테크는 '큰 돈이 있어야만' 시작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.
특히 사회에 막 발을 디딘 사회초년생에게는
지출 관리와 예산 설정이 재테크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.

1. 현재 내 수입과 지출을 정확히 파악하자

매달 내가 얼마를 벌고, 얼마를 쓰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시작입니다.

예시:
월급 실수령액 230만 원 중
고정지출: 월세 50만 원, 통신비 8만 원, 교통비 10만 원
변동지출: 식비, 쇼핑, 여가 등 약 70만 원
👉 남는 금액 약 92만 원
💡 Tip: 가계부 앱(뱅크샐러드, 토스, 브로콜리 등)을 활용하면 자동으로 지출을 분류해줘요.


2. 예산 항목을 설정하고
한도 내에서 소비하자

카테고리별로 지출 예산을 설정하면 소비습관을 자연스럽게 통제할 수 있습니다.

예산표 예시:
✔ 식비: 월 30만 원
✔ 여가·취미: 월 10만 원
✔ 쇼핑: 월 5만 원
✔ 비상금(비정기 지출 대비): 월 10만 원
💡 Tip: 체크카드 or 소비 전용 계좌를 따로 만들어 예산별로 나눠 쓰면 훨씬 효과적이에요.

3. 50:30:20 법칙으로
재테크 구조 만들기

50:30:20 법칙은 수입을 3가지 항목으로 나눠 배분하는 방법입니다.

  • 50% 생존을 위한 고정지출 (주거, 식비, 교통)
  • 30% 즐기기 위한 소비 (여가, 쇼핑, 구독서비스 등)
  • 20% 미래를 위한 저축/투자 (비상금, 예금, ETF, 연금저축 등)
💡 처음부터 20%를 모으기 어려울 땐 10%부터 시작해도 괜찮아요!

4. 자동이체로 ‘강제 저축 습관’ 들이기

실행력이 가장 중요한 단계!
월급날 다음날, 저축 계좌로 자동이체를 설정하세요.

✔ 월급일: 매달 25일
✔ 저축이체일: 매달 26일 (적금 30만 원 자동이체)
💡 ‘잔돈 모으기’ 서비스도 활용해 보세요. (예: 토스, 카카오뱅크)

5. 지출 절약을 위한 습관 꿀팁

  • ✔ 구독 서비스 정리하기 (넷플릭스, 멜론 등)
  • ✔ 중고 마켓(당근마켓 등) 활용하기
  • ✔ 식비 아끼는 도시락 챌린지
  • ✔ 커피 한 잔 줄이면 연간 100만 원 아끼기 가능

🔗 다음 시리즈로 이어지는 글

이제 예산과 지출을 다뤘다면, 다음은 어떤 투자 수단이 있는지 비교해볼 차례입니다.

👉 [2편] 적금부터 ETF까지 재테크 수단 비교